◀앵커▶
부산 도심 서면에서
원룸 오피스텔 64채를 소유한 집주인이
갑자기 잠적했습니다.
이른바 '깡통전세' 사기가 의심되는 상황인데,
피해액만 4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민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모씨는 2년 전 직장과 가까운 이 오피스텔에 전세로 들어왔습니다.
[피해자 이 씨]
"2호선 주변에 일하고 있어가지고 (가깝고) 그 당시에
전세가 잘 안 나와서 중개인이 여기 전세 나왔다고 해서
바로 계약금부터 걸었거든요."
그런데 계약 만료를 넉 달 앞둔 지난해 12월부터
집주인과 연락이 뚝 끊겼습니다.
연락이 닿지 않는 건
다른 세입자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피해자 신 씨]
"(연락이 끊긴 게) 저랑은 10월 말이었고요.
다른 사람들은 말 들어보면 거의 10월에서
11월까지는 연락이 됐었고 12월부터 잠적 들어갔고."
알고 보니 집주인 1명 앞으로 등기된
오피스텔만 64채였고,
이 가운데 절반을 전세로 내줬습니다.
같은 건물의 상가 4곳도 집주인 소유인데,
공실 관리비도 석 달째 밀렸습니다.
오피스텔 관리실은,
'깡통전세 사기'가 의심된다며
세입자들에게 주의 문자까지 발송했습니다.
[관리실 관계자]
"분양가가 1억 8천...매매가가 1억 8천이 안 되는데.
느낌이 이상하다, 전세 사기같다 이거. 자기가
육십몇 채를 갖고 있으면 관리소장이 전화하면
받고 우리가 통화가 돼야 하는데, 휴대폰 아무데도
전화를 안 받아요, 이 사람이."
문제는 피해자 상당수가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았고,
46억 원이 넘는 근저당권에 순위가 밀려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렵단 겁니다.
[피해자 이씨]
"(은행에서) 근저당이 많이 잡혀서 보증보험이 처음부터
아예 안 됐을 거다...(공인중개사가) 전세권 설정을 하게 되면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다고 했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크게 의미가 없다고."
현재 피해자는 모두 34명,
피해액 추정치만 40억입니다.
피해자 중 일부는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고,
나머지도 집단 고소를 준비 중입니다.
MBC 뉴스 조민희입니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