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16일) 부산시의회에서 진행된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부산시의 원전 관련 대응이
크게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부산시는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정부에 특별법 제정도
계속 촉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준오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시민들이 우려하는 원전 정책 2가지가
동시에 추진되고 있습니다.
고리 2호기 수명 연장과
핵 연료 저장시설 건설 추진입니다.
고리 2호기는 다음달 8일
40년 수명이 만료돼 운영이 중단되지만
각종 평가를 거쳐 수명 재연장이
추진됩니다.
핵 연료 저장시설 건립안은
지난달 한수원 이사회를 통과했고
이르면 올해 설계가 시작됩니다.
부울경 지역사회가 거세게 반발하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도 정부의 일방적 정책 추진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승우 시의원은 시정 질문을 통해
"시민 안전이 담보 안된 원전 정책은
추진에 무리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승우 / 부산시의원]
"핵 연료 처리에 대한 부분은 시민 안전성 담보 없이는 추진하기에는 매우 무리가 있습니다"
이 의원은 "원전 관련
모든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반드시 시민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고리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이
영구 저장시설로 전락할 수도 있지만
부산시의 적극적 대응이나 목소리가
보이지 않는다"고 질타했습니다.
[이승우 / 부산시의원]
"월성 원전 시설의 건식 저장 시설은 중수로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 후 핵연료인데 고리 원전은 경수로 원전입니다. 그렇죠?"
[김경덕 / 부산시 시민안전실장]
"예 그렇습니다"
[이승우 / 부산시의원]
"그러면 발생하는 사용 후 핵연료의 건식 저장 시설은 지금 전무한 실정이죠?"
[김경덕 / 부산시 시민안전실장]
"네, 국내에서는 지금 현재 설치된 곳이 없습니다"
부산시는 필요하다면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 할 수 있도록 원전 공청회를
직접 주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특별 법안 등
관련 법령이 통과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국회 설득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박준오입니다.
◀끝▶
"부산시 원전 대응 미흡... 목소리 안 들린다"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