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교육 [기획/탐사/심층] 지역대학 ′벚꽃엔딩′ 실체보고서

대학 ′벚꽃엔딩′ 실체 최초 분석, 결과는?


"본 보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앵커▶

어제 이 시간을 통해 10년 뒤 전국 4년제 대학 3분의 1이
소멸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보도, 전해드린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른바 지역대학 \′벚꽃엔딩\′의 실체를 한번 파헤쳐 보겠습니다.

수도권에서 먼 도시부터,다시 말해, 벚꽃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는다는 썰. 과연 통계적으로 증명된 것일까요?

이두원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하는
신승찬 씨.

졸업을 앞두고 또 다른 복수전공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졸업이 다가올수록
\′지역대학\′ 꼬리표가 걱정입니다.

[신승찬 / 대학생[]
"지방과 더불어, 학교 타이틀 때문에 저의 노력이 조금
저평가되는 건 아닌가 하는 약간의 피해의식 아닌 피해의식도 생기는 것
같아요."

거점국립대 재학생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취업을 위한 이른바 \′스펙쌓기\′조차
대부분의 기회가 수도권에 몰려있습니다.

박은영 / 대학생
"(취업을 위한) 대외활동이 서울에 몰려있다 보니까
제가 수업시간과 겹치는 경우에는 지원할 수 조차 없다는게
(취업에) 걸림돌인 것 같습니다."

학령인구 감소 속에 교육과 취업의
수도권 집중은 심화됐습니다.

수도권에서 먼 대학부터 망한다는
이른바 \′벚꽃엔딩\′ 괴담.

과연 그런지,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토대로
시계열 분석을 해봤습니다.

내년부터 오는 2031년까지
연도별 위기 대학을 지도에 표시했습니다.

그 결과, 수도권에서 먼쪽부터 위기를
맞기 보다는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위기가 찾아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학의 자체 상황과 소재 도시 규모, 인구 수,
대학밀집도, 도시화 정도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차재권 / 부경대 지방분권발전연구소장]
"결국 벚꽃엔딩이라고 하는 게 하나의 경향성으로 존재하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명확하게 벚꽃엔딩이 있다 없다를 설명하기는 어렵고,
그 대신 굉장한 다양한 종류의 요인들이 지역대학의 소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도시규모가 작을수록 위기의 징후는
선명해집니다.

10년뒤 위기대학 비율은
서울 47.2%, 광역시 51.7%
대형 일반시 50%인데,

군 단위 소재 대학은 61.5%로
폐교가능성이 커집니다. 

수도권에서도 경쟁력이 낮은 대학부터
벚꽃엔딩을 맞이하겠지만,

비수도권 대학은 보다 심각하고
급속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MBC뉴스 이두원입니다.

◀끝▶

이두원

뉴스취재부장

"때로는 따뜻한 기사로, 때로는 냉철한 기사로 인사드리겠습니다."

Tel. 051-760-1309 | E-mail. blade@busanmbc.co.kr

Tel. 051-760-1309
E-mail. blade@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