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분양시장에 대한 전망이 밝지만 지방 분양시장에는 아직 찬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집 값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미분양 물량이 속출하고 있는데, 울산에는
정확한 미분양 통계도 나오지 않아
실수요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이상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분양에 들어간 울주군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체 967세대에 달하는 이 아파트의
청약률은 1,2차를 합쳐 74%에 그쳤습니다.
250세대가 미달됐는데, 실제 계약이 어느정도
이뤄졌는지는 미분양 통계를 봐야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울산의 미분양 물량은 올들어 석 달째
수치가 그대로입니다.
울산시 홈페이지에 공개된 미분양 주택 현황
보고에는 1,2,3월 모두 395세대로 똑 같습니다.
사업자가 미분양 수치를 공개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강제할 수 없어
지자체도 애를 먹고 있습니다.
[울산시 관계자]
"잔여 물량을 계약을 하고 하기 때문에
(미분양) 정리가 덜 됐다.그리고 사업장 내
코로나때문에 근무가 안 돼 지연이 됐다 뭐
이런 사정들이 있다고 하니까(업체에서 공개를 안한다)"
반면 올들어 대단지 분양이 잇따랐던
대구나 충북의 미분양은 울산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지만 모두 미분양 집계에 포함됐습니다.
지난 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말 대비 42% 늘었는데,
대구 130%, 충북 189% 등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폭등했다고 정확하게 공개돼
있습니다.
미분양과 실제 계약률은 소비자들이 주택을
구매할 때 결정적 요소가 될 수 있어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게 관례입니다.
[강정규 동의대 부동산대학원장]
"새로운 정부 정책에 따른 기대감으로 인해
분양을 받고자 하는 분들은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돼서 그로 인해서(관망하고 있다)"
올 1분기 지방에서 분양한 26개 단지가
1순위 청약에서 미달 사태를 빚었습니다.
대부분 울산과 대구 등 지방 도시들입니다.
지방 집 값이 내리기 시작한데다 공급물량까지
늘어나면서 미분양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실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언제까지 계속될 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이상욱
◀끝▶
지방 아파트 분양 '참패'... 미분양 물량은 '비밀'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