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사회[기획/탐사/심층]여기는 두바이 '가자! 2030'

엑스포 '계기'로 만들고 '이후' 물류 허브로 키워

◀앵커▶
부산MBC는
2030년 월드 엑스포 유치 성공을 위한 조건을
연속보도하고 있습니다.

해외는 물론 국내의 홍보 부족 문제를
어제 전해드렸는데,

또 하나 필수 요건이 바로
신공항 건설입니다.

1차 목적은 '접근성'이지만,
보다 궁극적인 목표는 따로 있습니다.

조민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2일 기준
두바이 엑스포의 누적 방문객 수는
415만 명입니다.

매주 50만 명 넘는 인구가
세계 각국에서 이 행사장으로 몰려드는 겁니다.

이들을 위한 교통체계를 마련하는 건
유치 성공의 필수 요건.

실제 국제 교통 시스템 확보는
국제박람회기구, BIE의
주요 평가 항목 중 하나입니다.

[마잔 파라이두니/엑스포 조직위 관계자]
"엑스포 개최를 준비하면서, 행사장으로
곧장 연결되도록 지하철 노선을 확대했습니다.
또 관람객들이 도심과 수도 아부다비에서
올 때 무료로 환승할 수 있게 했습니다."

하지만 두바이가 수년 전부터 주목한 건
'공항'이었습니다.

두바이는 지난 2014년 38조 원 규모의
알막툼 공항 확장 사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터미널 2동과 4.5km 활주로 4개를
더 만들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알막툼 국제공항은 이곳에서 약 23km,
30분 이내 거리에 있습니다."

국제여객 처리능력 세계 1위인
두바이 국제공항이 있지만,
신공항을 키운 이유는 바로
세계 최대 물류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섭니다.

[나디메흐 메흐라/'District 2020' 관계자]
"제벨알리항과 알막툼 공항 사이 길목이
앞으로 물류의 통로가 될 겁니다. 이건
엑스포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두바이의
국가적 발전을 위해섭니다."

이미 두바이는
중동 최대 물류항인 제벨알리항과
알막툼 국제공항, 여기에 에티하드 철도까지 갖춘
'트라이포트'로 전체 GDP 50조 원의 25%가량을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부산항과 연계한 24시간 물류 공항,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있는 부산으로선
선행학습이 꼭 필요한 모델입니다.

부산시가 2030 월드 엑스포 개최 직전인
2029년까지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지난달 1일 출범한 가덕도신공항건립추진단은
내년 3월 사전타당성 용역에 대한 중간보고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MBC 뉴스 조민희입니다.

◀끝▶
조민희
교육 2진 / 김해공항 / 사상*사하*북*강서구

"신뢰와 예의를 지키는 기자."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