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전기모기채 불꽃′타다닥′..모기잡다가 화재


◀ANC▶

여름철 모기 잡으려고
라켓 모양의 전기 모기채, 많이들 쓰시죠.

그런데 조심하셔야겠습니다.

부산의 한 가정집에서
스프레이 살충제를 뿌린 뒤
전기 모기채를 켰다가 집이 불탔습니다.

살충제와 전기모기채가 만나면 얼마나 위험한지
류제민 기자가 실험해봤습니다.

◀VCR▶

깨진 창문 밖으로 뿌연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그제밤 부산의 한 가정집 안방에서 불이 나
냉장고와 가구 등 집안을 모두 태웠습니다.

집주인은 스프레이형 모기약을 뿌린 뒤
전기 모기채를 켰는데,
모기가 채에 닿는 순간 스파크가 튀면서
불꽃이 침대로 옮겨붙었다고 말했습니다.

◀SYN▶
경찰 관계자
"안방에서 모기가 많이 날아 다니니까 거기에 모기약을 거의 한 통 다 뿌린 모양이더라고요. 방 문하고 다 닫아놓은 상태였죠."

◀ S / U ▶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기약과 전기모기챕니다. 실제 이 두 가지로 불이 날 수 있는지
직접 실험해 보겠습니다."

라면상자 크기의 아크릴 상자 안에
스프레이형 모기약을 충분히 뿌린 뒤,
전기 모기채를 작동시켰습니다.

"펑"

삽시간에 불기둥이 치솟으며
폭발이 일어납니다.

바로 옆 실험용 마네킹이 입은 방호복이
녹아내릴 정도의 위력입니다.

◀INT▶
한경원 / 부산소방재난본부 화재조사관
"모기 살충제에는 LP(액화석유)가스가 들어있는데, LP가스는 가연성 가스입니다. LP가스가 폭발 범위 안에 있게 되면 공기 중에 체류하게 돼서 전자 모기채와 같은 스파크에도 폭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분사형 모기약의 경우
약품을 내뿜기 위해 액화석유가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전기 모기채와 함께 쓸 땐,
반드시 창문을 열고 환기해야
화재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MBC 뉴스 류제민입니다.

◀END▶

류제민

시경

"부산MBC 보도국 류제민 기자입니다."

Tel. 051-760-1111 | E-mail. ryu@busanmbc.co.kr

Tel. 051-760-1111
E-mail. ryu@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