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생활/날씨 뉴스데스크

"밥 줘야 철새가 산다?" 길고양이 급식소 두고 ′팽팽′


◀ 앵 커 ▶
을숙도 길고양이 급식소 철거 갈등이
법적 다툼으로까지 번졌습니다.

주민들 사이에서도 찬반이 나눠지는 건
물론이고 시민단체마다 해법이 제각각입니다.

윤파란 기자가, 다양한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 리포트 ▶
을숙도에 자리 잡은
길고양이는 70여 마리입니다.

2016년 급식소 설치 이후
한 때 200여 마리까지 늘었지만
꾸준한 중성화로 감소 추세입니다.

[사하구 주민]
"중성화 시켜가지고 더 이상 개체수를 늘리지 않는 거는 좋은데

그렇다고 해서 살아있는 동물에게 먹이를 아주 없앤다는 거는 찬성을 하지는 않아요."

문제는 ′철새도래지′라는 점.

고양이가 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주장도, 그 근거도 제각각입니다.

시민단체 사이에서도 의견은 갈립니다.

[초록생활 백해주 대표]
"포획을 해서 어느 적정한 장소를 설정해서 관리 감독 병이 들었다면

병원에도 보내고 그게 올바른 케어지 밥하고 물만 준다고 그게 올바른 케어요?"

급식소를 없애면 굶주린 야생 고양이가
철새를 공격할 가능성이 더 높을 거라는 우려.

[환경연합 전시진 자연환경 해설사]
"저는 여기서 한 30년을 새들을 보살피고 있었습니다.

관리를 한다는 것은 얘네들에게 먹이를 줘서

새들을 공격하지 않게 하고 꾸준한 TNR(중성화)를 통해

개체수를 줄여 나가는 게 제일 좋은 방법 같습니다."

주민들 역시 찬반이 나뉩니다.

[을숙도 주민]
"100번 철거 시켜야지, 왜냐면 고양이가 많음으로 해서 다른 벌레도 못살고

쓰레기 봉투를 노는 사람들이 넣어 놓으면 고양이가 물어 뜯어 버리고.."

[을숙도 주민]
"불법이라 칭한다면 어쩔 수 없기는 한데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선에서 운영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차라리 급식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게 좋지 않나."

국가유산청은 철거명령을 내렸고
동물보호단체는 구청에 행정심판을 제기했습니다.

새 보호를 이유로 고양이를 반출한
′제주 마라도′ 사례 이후,
전국에서 비슷한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끝▶

 

 

 

 

윤파란

뉴미디어 담당/뉴스 네트워크 진행2

Tel. 051-760-1344 | E-mail. blue@busanmbc.co.kr

Tel. 051-760-1344
E-mail. blue@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