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사회

거세지는 ′분리매각′ 여론... 부산시는?


◀ 앵 커 ▶

글로벌허브도시와 산업은행 이전과 함께
부산지역 3대 현안 중 하나인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한 지역 사회의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간 통합에 대한
국제 사회 승인이 다음 달 마무리될 예정인데,

그 이전에 분리 매각을 관철해야 한다는
시민사회 요구와는 달리,

부산시는 통합 승인 이후 시점으로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류제민 기잡니다.


◀ 리포트 ▶

부산시를 포함해 시의회, 상공회의소,
지역 시민단체는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오는 2029년 개항 예정인 가덕도신공항이
남부권 관문공항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에어부산 분리 매각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민단체는 에어부산 분리 매각이
반드시 14곳 해외 필수 신고국 승인 중
마지막 하나 남은 미국 승인 이전,

즉, 해외 기업결합 승인을 마치기 전에
관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지후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이사장]
"미국의 기업결합 승인 이전에 반드시 단호하게 대통령을 만나서 부산시가 결단을 지어야 하고요."

지난 2일, 민관정 시정 현안 소통 간담회에서
부산시는 정부와 국회 등에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적극 촉구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또, 현재 부산상의와 부산시에 분산된
에어부산 분리매각 TF를 하나로 통합 운영해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분리매각을 이행하는 시점에 있어서
부산시와 시민사회의 입장은 조금 다릅니다.

다음 달 미국의 기업결합 승인 심사를
통과하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통합이
사실상 확정되는데,

현재로선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두 회사의 통합에 공식화할 경우,

해외 기업결합 승인이 모두 물거품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두 회사의 통합 이전에는
분리매각을 관철시키기 어렵다는 겁니다.

대신 미국의 승인을 받는 대로
대한항공이 산업은행에 다시 제출해야 하는
인수 후 통합 계획안, PMI에 지역 거점 항공사
존치,

다시 말해,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반영시키겠다는 전략입니다.

[강희성 / 부산시 공항정책과장]
"항공사 통합 계획에 지역 거점 항공사 존치 방안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존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다만, 가장 중요한 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채권자인 산업은행의 분리매각에
대한 의지입니다.

부산시가 이 당사자들과 정부, 국회를 상대로
얼마나 분리매각에 절실한 지역 여론을
잘 전달하고 설득하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MBC 뉴스 류제민입니다.

◀ 끝 ▶





 

 

 

류제민

시경

"부산MBC 보도국 류제민 기자입니다."

Tel. 051-760-1111 | E-mail. ryu@busanmbc.co.kr

Tel. 051-760-1111
E-mail. ryu@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