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뉴스데스크

′해운대 낭만′ 포장마차촌 추억 속으로


◀ 앵 커 ▶

해운대해수욕장 뒤편,
포장마차촌은 유명 배우들도 찾는 관광지로
각광받았는데요.

여러 논란이 잇따르자,
60여 년 만에 결국 철거됐습니다.

조민희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 리포트 ▶

폐기물 차량이
포장마차를 그대로 집어올립니다.

전선과 천막을 하나하나 잘라내고,
쓰레기를 한곳에 모읍니다.

60여 년간 영업해 온 포장마차촌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순간입니다.

[강영철 / 25년 영업]
"내 삶 자체였지. 왜냐하면 여기서 가장 중요한 40대, 50대를 다 보냈으니까.

애들이 커가지고 다 자기가 시집도 가고 장가도 가고."

상인들은 철거 하루 전부터 짐을 챙겼습니다.

[김복인 / 45년 영업]
"시원섭섭하다는 것밖에 없지, 어떻게 하겠나? 2세들이 활성화시켜가지고 (명물로) 남겨줬으면 좋겠지만 우리 마음대로 안 되니까."


2000년대 초반
200여 개에 달하던 포장마차.

재정비 뒤, 최근까지
46곳이 자리를 지켰습니다.

유명 배우들이
찾으며 관광지로 각광받았지만,

무허가 시설인데다
위생문제와 바가지 가격 논란이 잇따랐습니다.

[원문선 / 해운대구 우동]
"회 같은 거 즉시 여기서 먹고 소주 한 잔하고 그렇게 비싸지도 않고 그렇게 먹고 할 때는 좋았지."

타임라인CG---
결국 2021년, 해운대구청은 포장마차를
자진 철거하기로 상인들과 협의했습니다.

올해 초 상인들이 영업 연장을
요구하면서 행정대집행 직전까지 갔지만,
막판 협의를 이뤘습니다.
 

[조민희 기자]
"구청은 일단 이 곳 부지를 공영주차장으로 활용하고 공원을 조성할 지 검토할 계획입니다."

공원을 조성할 경우
구청은 지하주차장을 짓겠다는 구상이어서,
예산과 지반 안전 문제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조민희입니다.


◀ 끝 ▶ 

 

 

 

조민희

해운대 / 남 / 수영 / 기장

"신뢰와 예의를 지키는 기자."

Tel. 051-760-1111 | E-mail. lilac@busanmbc.co.kr

Tel. 051-760-1111
E-mail. lilac@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