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획/탐사/심층

위기의 지역대학, ′취업 로드맵′ 만들어라!

◀ANC▶\n\n앞서 두 차례에 걸쳐 지역대학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살펴봤는데요.\n\n지역대학의 위기 극복은 지역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n\n지역대학을 나와 지역에서 취업이 가능한 \′취업 로드맵\′을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얘깁니다.\n\n이두원 기잡니다.\n\n ◀VCR▶\n\n지난해 말 기준 부산 인구는 339만 명 수준.\n\n반면 수도권 인구는 2천603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n\n대학을 졸업해 한창 일할 나이인 25살에서 39살 청년층은 해마다 부산 유출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n\n지역에서 대학 나온 뒤 직장을 구할 수 없어 부산을 떠나는 겁니다.\n\n ◀INT▶\n\"아무래도 서울로 가야 안 되겠나...\"\n\n인구유출이 바로 지역대학의 위기와 연결돼 있다는 점이 단적으로 드러나는데 지자체가 지역대학의 위기를 심각하게 인식해야하는 이윱니다.\n\n김해시의 사례는 인구유출을 막기 위한 지자체의 노력을 보여줍니다.\n\n김해시는 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을 600여 명에게 장학금을 주기로 했고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할 경우 취업장학금도 지원할 계획입니다.\n\n◀SYN▶\n\"지역 취업까지 삶의 발판 마련해주려는 것\"\n\n부산시가 지역대학 졸업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면 지역에 머무를 수 있도록 이 \′취업 로드맵\′을 만들어줘야 합니다.\n\n◀SYN▶\n\"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취업 지원해야\"\n\n정부도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다면 지역대학의 문제를 외면해선 안됩니다.\n\n대학 정원 조정 등 위기극복 대책을 각 대학의 의지에 맡겨두기 보다는 전국적 실태를 파악해 맞춤형 대책을 시행하고 지자체의 지역대학생 취업 로드맵을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야 합니다.\n\n또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500개에 달하는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신속히 이전시키는 절차에 착수하는 것도 지역을 살리고 대학을 살리는 길입니다.\n\n결국 지역대학의 몰락은 지역의 쇠퇴로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지역대학을 나와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의 취업 로드맵을 만드는데 대학은 물론 지자체와 지역기업, 정부가 역량을 집중시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n\nMBC뉴스 이두원입니다.\n◀END▶

이두원 | 2021-02-04

위기의 지역대학, 추락의 이유는?

◀ANC▶어제 이 시간을 통해 신입생을 채우지 못하는 지역대학의 위기 들여다봤는데요.학령인구 감소라는 영향 이외에도 지역대학의 추락은 이유가 여러가집니다.지역대학의 자체적인 교육 투자도 부족하고 정책적인 지원도 미미한 상탭니다.이두원 기잡니다.◀VCR▶2021학년도 부산지역 4년제 대학정원은 모두 3만6천여 명에 이릅니다.그러나 고3 학생은 2만5천여 명 수준.2022년에 소폭 늘어나긴 하지만 2023년엔 더 떨어지고 2024년부턴 2만3천 명대에 진입합니다.부산l지역 4년제 대학 정원의 3분의 2도 안되는 수칩니다.이처럼 통계적으로 봐도 지역 대학의 미달사태는 해결하기 힘든 문제로 보입니다.그러나 학생수 감소 같은 구조적 요인이 예견돼 왔는데도 지역대학과 지자체, 교육부가 제대로 위기를 대비하지 못했다는 점이 더 큰 문젭니다.지난해 공시 기준, 수도권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천787만 원 수준이고 비수도권 평균은 천530만 원 정돕니다.무려 200만 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특히 부산은 사립대의 1인당 교육비가 7대 도시 중 꼴찌입니다.대학이 학교의 주인인 학생들을 위한 운영을 하고 있는지 되돌아봐야할 지점입니다.◀INT▶\"대학이 교육사업을 하는 곳 같다는 느낌\"지자체는 어떨까? 부산시 대학협력단의 사업을 살펴봤습니다.선도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사업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취업연계 사업이 있긴 하지만 고용창출 규모는 미미합니다.◀SYN▶\"연구개발 사업 주로 하고..\"교육부도 지역대학 관련 대표적 2가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지만 혜택이 제한적입니다.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프로젝트는 지역의 일부 대학에만 혜택이 가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은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만 선정됐습니다.이번 정부 들어 대학별 정원 조정도 강제사항이 아닌데다 정부 재정지원의 기준이 되는 대학 역량평가엔 지역대학에 불리한 요소도 여전히 작용합니다.◀INT▶\"안그래도 수도권 집중..충원률 등 배점 빼야\"학령인구 감소의 위기는 이미 예견돼 왔지만 이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한 지역대학과 지자체, 교육부 모두 현재의 위기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아 보입니다.MBC뉴스 이두원입니다.◀END▶

이두원 | 2021-02-04

위기의 지역대학, 신입생이 없다

◀ANC▶\n지역대학이, 신입생을 못받는,\n초유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n\n부산MBC는 앞으로 세 차례에 걸쳐,\n고사 위기에 놓인 지역대학의 상황을 살펴보고,\n해법을 모색해보겠습니다.\n\n오늘은 첫번째 순서로,\n신입생 없는 지역대학의 실태를진단합니다.\n\n이두원 기잡니다.\n\n\n ◀VCR▶\n\n보건계열과 사범대에 강점을 가진 신라대.\n\n올해 정시 경쟁률은\n지난 2017년의 4분의 1도 안되는\n0.98대 1을 기록했습니다.\n\n정시가 가나다 군으로\n3번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n실제 경쟁률은 0.3 대 1 정도가 됩니다.\n\n초유의 미달 사태입니다.\n\n이 학교의 간호학과나 경찰행정학과 등\n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학과들을제외하면,\n\n다른 과는 사실상 신입생을 채우기 어렵다는\n얘깁니다.\n\n(CG)영산대가 1대 1, 동명대 1.17대 1\n인제대 1.38대 1.\n정원을 못 채울 가능성이 높은 대학은\n신라대 말고도 많습니다.\n\n내년도 정시 기준으로,\n부산지역 4년제 대학 15곳 가운데\n무려 11곳의 사정이 이렇습니다.\n\n◀SYN▶\n\"지역대학 일하는 사람으로 매우충격적\"\n\n입학하더라도, 학업을 이어가지않는 경우도\n많습니다.\n\n부산지역 4년제 대학 15곳의 지난해 공시기준\n중도탈락비율을 살펴봤습니다.\n\n(CG)영산대 부산캠퍼스가 8.7%로 가장 높았고,\n이어서 동명대 7.3%, 신라대7.2%,\n고신대와, 부산외대, 동서대가6%\n수준으로,\n\n보통 2~3% 수준인 수도권 주요대학들과\n큰 차이를 보입니다.(CG)\n\n(CG)스스로 학교를 그만둔 자퇴생 수만\n\n동명대가 632명으로 가장 많지만\n지역 국립대학인\n부산대와 부경대도 생각보다 많습니다.(CG)\n\n◀SYN▶\n\"대부분 수도권 대학으로 가려는비욜\"\n\n[s/u]\"이같은 지역 대학의 위기는\n학생들에게 피부로 와 닿을 수밖에\n없습니다. 지역 대학의 주인인 학생들은\n어떻게 인식하고 있을 까요?\"\n\n ◀INT▶\n\"서울 편입 준비하는 학생들 많아\"\n\n ◀INT▶\n\"실습 같은 것도 수도권 대학과차이 나\"\n\n지역대학이 무너지면,\n인구 유출의 가속화는 물론,\n주변 상권을 비롯한 경제기반이무너지고,\n결국엔 지역의 몰락으로 이어질가능성이\n높습니다.\n\nMBC뉴스 이두원입니다.\n◀END▶

이두원 | 2021-02-02

  • 1